-
목차
반응형2025년 불법건축물 단속 강화, 나도 모르게 위반이 될 수 있다
많은 사람들은 “집 안을 고치는 건 허가 없이 해도 되겠지”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2025년 기준으로 대부분의 지자체는 리모델링 공사 중 건축법 위반을 집중 단속하고 있습니다.
특히 단독주택, 농가주택, 촌집, 이동식 주택이 단속 대상에 많이 포함됩니다.이 글에서는 실제로 적발된 3가지 리얼 사례와
그 문제를 어떻게 해결했는지, 또 같은 실수를 피하는 법까지 상세하게 알려드릴게요.
1. 사례 1 – 데크 확장 1.5평, “이 정도는 괜찮겠지?” → 불법 증축 판정
한 주택 소유자는 나무 데크를 약 1.5평 정도 확장했습니다.
이 소유자는 데크는 ‘건축물’이 아니라고 생각했고,
“그냥 야외용 구조물인데 허가가 필요하겠어?”라고 판단했습니다.하지만 지자체 현장 점검에서 이 데크는 증축으로 판정되었습니다.
❗ 적발된 이유
- 데크 아래 기초 콘크리트를 타설
- 데크 높이가 지면에서 1m 이상
- 영구 사용 구조물로 판단
해결 방법
- 이 소유자는 자진 철거를 선택하고
- 철거 후 사진 + 시공 철거확인서를 제출해
- 과태료를 면제받았습니다.
💡 핵심 교훈:
지자체는 “단순 데크”라도 기초·높이·영구성 3가지를 기준으로 건축물로 판단합니다.
2. 사례 2 – 창문 확장 + 외벽 교체 → 리모델링이 아니라 ‘대수선’
한 귀촌인은 오래된 촌집을 감성 있게 리모델링하려고
창문 크기를 기존 1m → 2m로 확대하고,
외벽을 전체적으로 새로 시공했습니다.이 귀촌인은 “내부 공사니까 신고 없겠지”라고 생각했지만
이는 **대수선(큰 구조 변경)**에 해당합니다.❗ 적발된 이유
- 창문 크기 변경 = 구조 변경
- 외벽 전체 철거 = 주요 구조부 변경
- 단열재 → 방화구조 변경 가능성
해결 방법
- 건축사의 사후 대수선 신고 + 안전확인서 제출
- 주택 전체 구조 안전 점검
- 과태료 약 120만 원 부과
💡 핵심 교훈:
창문·외벽·벽체 변경은 ‘인테리어’가 아니라 구조 변경으로 분류됩니다.
3. 사례 3 – 농지 위 이동식 주택 → “농막인 줄 알았는데 불법건축물?”
한 부부는 농지 위에 20㎡짜리 이동식 주택을 놓았습니다.
바퀴가 달린 구조라 농막으로 생각했고 신고를 하지 않았습니다.하지만 이 이동식 주택은
- 전기 인입
- 수도 연결
- 데크 설치
3가지를 한 상태였기 때문에
‘주거 목적의 건축물’로 판단되어 불법이 되었습니다.
❗ 적발된 이유
- 농지법상 “농업 목적”이 아닌 거주 목적 사용
- 건축법상 “영구 설치 구조물”로 인정
- 농지전용허가 없음
해결 방법
- 농지전용허가 (약 3~6주)
- 건축허가 접수
- 데크 철거 + 정화조 추가 설치
- 과태료 약 150만 원
💡 핵심 교훈:
이동식 주택은 ‘바퀴가 있다’고 해서 모두 농막으로 인정되지 않습니다.
전기·수도·데크 3박자가 갖춰지면 건축물입니다.
해결 방법 총정리 – 적발되면 이렇게 하면 됩니다
① 자진 시정 또는 철거
가장 빠르고 과태료 감면되는 방식.
대부분의 경미한 위반은 “자진 시정”으로 끝납니다.② 사후 신고 (대수선·용도변경·임시건축물 신고)
경미한 구조 변경의 경우
건축사에게 사후 신고 도면을 받아 제출하면 합법화 가능합니다.③ 정식 건축허가 절차 밟기
주택 확장, 외벽 증축, 농지 전용 등
규모가 클 경우 허가 절차를 처음부터 다시 진행해야 합니다.④ 과태료 감면
자진 시정 + 사진 제출하면
대부분 50~100% 감면 가능합니다.
불법 리모델링 단속 강화 포인트
2025년 기준 지자체 단속은 다음 4가지를 집중 조사합니다:
- 데크 확장
- 차양·포치 등 지붕 구조물 설치
- 정화조·수도 무허가 설치
- 농지 위 이동식 주택
특히 SNS·블로그 사진으로 적발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자기 집 리모델링 사진 올렸다가 적발된 사례 다수)
마무리: “리모델링은 공사보다 법을 먼저 봐야 한다”
리모델링은 단순한 인테리어가 아니라 법적 행위입니다.
특히 촌집·단독주택·농막·이동식 주택은
작은 변경도 단속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요약 정리
- 데크·외벽·창문 변경은 대부분 ‘증축·대수선’
- 농지 위 이동식 주택은 허가 없으면 100% 불법
- 자진 시정하면 과태료 감면 가능
- 신고·허가 기준은 지자체마다 상이
👉 결론: “허가 가능한지 먼저 확인하고, 공사를 나중에 하라.”
이 원칙만 지키면 절대 적발되지 않습니다.











제1차 주택공급촉진 관계장관회의, 실수요자 위한 전방위적 공급 총력전
제1차 주택공급촉진 관계장관회의, 실수요자 위한 전방위적 공급 총력전2025년 11월 14일, 정부는 주택시장 안정을 위한 본격적인 '공급 드라이브'에 시동을 걸었습니다. 기획재정부 주관으로 열
mjbro-sis.com
HUG 주택건설 공적보증 강화, 정비사업 활성화로 주택공급 속도 높인다
정부가 주택공급 확대를 위한 HUG(주택도시보증공사) 공적보증 제도 강화를 공식 발표했습니다.이번 조치는 지난 9월 발표된 ‘9.7 주택공급 확대방안’의 후속조치로,정비사업과 매입임대주택
mjbro-sis.com
2025 제주 이동식 주택 부지 추천 지역 TOP 5! 구좌·애월·표선·안덕·조천읍까지, 설치 가능한 토
“바다 조망형부터 힐링형까지, 내 이동식 주택을 세우기 좋은 제주 땅은 어디일까?”제주도는 지금 이동식 주택 붐이 한창입니다.주택 가격은 오르고 있지만, 귀촌·세컨하우스·창업형 주택
mjbro-sis.com
2025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 총정리! 서울 전역 규제지역 지정부터 대출 규제까지 전방위 대응
최근 서울과 경기 지역을 중심으로 다시 고개를 들고 있는 부동산 시장의 과열 징후. 이에 대응하여 정부는 2025년 10월 15일, 전국 주택시장 안정을 위한 고강도 종합대책을 발표했습니다.이번 포
mjbro-sis.com
제주 촌집 임대 계약 전 반드시 확인해야 할 체크리스트 7가지! 등기부·건축물대장 확인, 계약
임대 실패를 막는 계약 전 필수 가이드제주에서 귀촌을 준비하는 많은 사람들이 촌집 임대를 선택합니다.매매보다 초기 비용 부담이 적고, 지역 적응을 해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죠.하
mjbro-sis.com
